[ADSP] 3과목 - 4장. 시계열 분석, 다차원척도법(MDS), 주성분 분석(PCA)
4절. 시계열 분석 1. 시계열 자료 시간의 흐름에 따라 관찰된 값들을 시계열 자료라고 한다. 시계열 데이터 분석을 통해 미래를 예측하고 경향, 주기, 계절성 등을 파악하여 활용 ★ 정상성 시계열 자료 : 비정상 시계열을 핸들링해 다루기 쉬운 시계열 자료로 변환한 자료 비정상성 시계열 자료 : 시계열 분석을 실시할때 다루기 어려운 자료 시계열 데이터의 구성요소 : 추세, 순환, 계절변동, 불규칙 변동 등 ★ 분석 절차 ★ 시간 그래프 그리기 추세와 계절성을 제거 잔차를 예측 잔차에 대한 모델 적합하기 예측된 잔차에 추세와 계절성을 더해 미래 예측 1-1. 시계열 구성 요소 ★★★ (1) 추세 요인 : 장기적으로 변해가는 큰 흐름 → 상승, 하락, 이차식, 지수식 형태 (2) 계절 요인 : 요일, 월, 분..
2022. 10. 10.
[SQLD]1과목 - 1장 2절. 엔터티, 속성, 관계
엔터티(Entity) : 업무에서 관리해야하는 데이터의 집합, 명사형, 인스턴스의 집합 (보이지않는 것 포함) 특징 ★ 업무에서 필요로 함 유일한 식별자를 가짐 2개 이상의 인스턴스를 포함함 업무 프로세스에 이용 속성 포함 최소 1개 이상 관계 존재 (통계성, 코드성, 내부필요 엔터티 제외) 종류 ★ 유무형에 따른 분류 유형 엔터티 : 물리적 형태가 있고 지속적으로 활용되는 엔터티 ex) 사원, 물품, 강사 개념 엔터티 : 물리적 형태가 없는 엔터티 ex) 조직, 보험상품 사건 엔터티 : 업무 수행함에 따라 발생됨 ex) 주문, 청구, 미납 발생시점에 따른 분류 기본 엔터티(Key Entity) : 업무에 원래 존재하는 정보. 자신은 타 엔터티의 부모역할. 독립적으로 생성. 자신의 고유한 주식별자 가짐...
2022. 10. 9.
[ADSP] 1과목.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빅데이터
1장.데이터 # 데이터 - 데이터는 개별 데이터 자체로는 의미가 중요하지 않은 객관적인 사실(fact) - 추론, 예측, 전망, 추정을 위한 근거(bias)로 기능하는 특성을 갖음 - 다른 객체와의 상호관계 속에서 가치를 찾음 # 데이터의 유형 (두개 헷갈리지 말기!) (1) 정성적(qualitative) 데이터 - 형태와 형식이 정해져있지않아 저장/검색/분석하는데 많은 비용과 기술적 투자가 수반된다. - 언어, 문자로 기술 ex) 설문조사 주관식 응답, sns에 올린글, 기상특보 등 비정형 데이터 (2) 정량적(quantitative) 데이터 - 데이터의 양이 크게 증가하더라도 저장, 검색, 분석하여 활용하기 용이하다. - 수치, 도형, 기호 등으로 표시 ex) 지역별 온도, 풍속, 강우량 # 지식경영..
2022. 10. 5.